|
인목대비가 승하한 서궁(西宮) 인경궁(仁慶宮)
등록일: 2012-05-06 12:53:37 , 등록자: 김민수 인목대비가 승하한 서궁(西宮) 인경궁(仁慶宮)
서궁(西宮) 인경궁(仁慶宮)은 1616년(광조 8) 큰 영향을 미쳤던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에 의하여 인왕산(仁王山) 아래 현 서울시 종로구 사직동, 필운동,누각동에 왕기(王氣)가 서려 있다는 설이 제기되었고 조선 15대 국왕 광조는 자신의 장래에 위협을 느끼고 인왕산(仁王山) 아래의 왕기를 누르기 위하여 16대 국왕 인조(仁祖)의 아버지 원종(元宗)의 사저에 인경궁(仁慶宮)을 지었으나 서궁(西宮) 인경궁(仁慶宮)에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시킨 광조는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폐위되었다. 선왕들의 후궁(後宮)들이 거처하는 수성궁(壽聖宮),자수궁(慈壽宮) 남쪽에 창건한 인경궁(仁慶宮)은 1616년 인왕산의 왕기(王氣)를 누르기 위해 서궐 경희궁과 남북으로 이어서 인왕산(仁王山) 아래에 창건되었으며 정전인 흥정전과 편전 광정전,내전 청와전,흠명전,화정당이 있었고 광조가 인경궁을 창건하는 과정에서 단절되었던 기술인 청기와 굽는 법을 되살렸다. 인조는 서궁(西宮) 인경궁(仁慶宮)의 전각을 철거하여 창경궁에 옮겨지었고 인경궁은 영조 대에 완전 철폐되었으며 1630년(인조 8년) 경운궁에서 즉위하여 창덕궁으로 이어한 인조는 인경궁(仁慶宮)에서 인목대비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풍정(豊呈)을 거행하였고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인경궁(仁慶宮) 흠명전(欽明殿)에서 승하하였다.
|
| 본 게시물에 대한 독자 의견 | |
|
칼럼/사설: 김선갑 전 광 ... 구정뉴스: 광진구, ‘재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열악한 광진 ... 구정뉴스: 광진구, 2025 ... 구정뉴스: 뚝섬로 36가 ... 정계소식: 이정헌 국회 ... 정계소식: 오세훈 서울 ... 구정뉴스: 광진구, 지난 ... 구정뉴스: 광진구, 8개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광진구, 자양 ... 구정뉴스: 화양동, 구의 ... 구정뉴스: 광진구, 버스 ... 구정뉴스: 광진구, 식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