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국왕을 생산한 사친(私親) 묘궁(廟宮) 6궁(六宮)
등록일: 2012-05-11 23:43:30 , 등록자: 김민수 조선 국왕을 생산한 사친(私親) 묘궁(廟宮) 6궁(六宮)
6궁(六宮)은 조선국 국왕을 생산한 사친(私親) 6명의 신주를 봉안한 묘궁(廟宮)이며 정문을 들어서면 남북으로 축을 이룬 2채의 재실(齋室)이 있고 그 뒤로 육상궁(毓祥宮), 연호궁(延祜宮), 경우궁(景祐宮), 선희궁(宣禧宮), 대빈궁(大嬪宮), 저경궁(儲慶宮)이 있고 육상궁(毓祥宮), 연호궁(延祜宮) 앞에 냉천(冷泉)과 냉천정(冷泉亭)이 있다.6궁(六宮)은 숙종의 후궁(後宮)이 되어 영조를 생산한 숙빈 최씨(淑嬪 崔氏)를 모신 묘궁(廟宮)이 있었기 때문에 ‘숙빈묘(淑嬪廟)‘라 했다가 1744년 ‘육상묘(毓祥廟)‘로 이름을 바꿨고 영조 29년(1753) 다시 ‘육상궁(毓祥宮)‘이라 했으며 1882년 소실되었다가 이듬해 6월 중건되었다.1908년 한성에 흩어져 있던 여섯 사친묘(私親廟)를 합사(合祀)함으로써 6궁(六宮)이 됐다. 영조의 후궁이자 진종의 생모인 정빈 이씨(靖嬪 李氏)의 연호궁(延祜宮), 선조의 후궁이자 원종의 생모인 인빈 김씨(仁嬪 金氏)의 저경궁(儲慶宮), 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인 희빈 장씨(禧嬪 張氏)의 대빈궁(大嬪宮), 영조의 후궁이자 장조의 생모인 영빈 이씨(暎嬪 李氏)의 선희궁(宣禧宮), 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綏嬪 朴氏)의 경우궁(景祐宮)이 합사(合祀)되었다. 1929년 일제 총독부가 고조 광무제의 후궁 엄씨의 사당 덕안궁(德安宮)을 6궁(六宮)으로 옮겼으나 후궁(後宮) 엄씨는 조선 국왕을 생산한 사친(私親)이 아니다.
|
| 본 게시물에 대한 독자 의견 | |
|
칼럼/사설: 김선갑 전 광 ... 구정뉴스: 광진구, ‘재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열악한 광진 ... 구정뉴스: 광진구, 2025 ... 구정뉴스: 뚝섬로 36가 ... 정계소식: 이정헌 국회 ... 정계소식: 오세훈 서울 ... 구정뉴스: 광진구, 지난 ... 구정뉴스: 광진구, 8개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광진구, 자양 ... 구정뉴스: 화양동, 구의 ... 구정뉴스: 광진구, 버스 ... 구정뉴스: 광진구, 식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