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大韓) 황실(皇室)의 상징 문장(紋章)이화문(李花紋)
등록일: 2012-05-11 23:19:28 , 등록자: 김민수 대한(大韓) 황실(皇室)의 상징 문장(紋章)이화문(李花紋)
4월에 절정을 이루는 자두꽃은 오얏꽃으로도 부르며 신라 말 도선(道詵) 스님이 쓴 비기(秘記)에 왕(王)씨에 이어 이(李)씨가 한양(漢陽)에 도읍한다고 예언하고 고려 왕실은 한양에 벌리목사(伐李牧使)를 두어 백악(白岳:북악산)에 오얏(자두)나무를 심고 나무가 무성할 때면 모두 찍어서 이(李)씨의 기운을 눌렀지만 이(李)씨가 1392년 조선을 건국했다. 1897년 10월 12일 초대 황제 고조 광무제가 대한제국(1897-1919)을 건국하면서 오얏 이(李)자에서 따온 자두꽃(오얏꽃) 문양, 이화문(李花紋)을 대한(大韓) 황실(皇室)의 상징 문장(紋章)으로 삼았으며 이화문(李花紋)의 문양은 여러 형태로 남아 있지만 대체로 다섯 꽃잎의 꽃잎마다 셋의 꽃술을 놓고 꽃잎 사이에 또 꽃술을 하나씩 놓은 꼴로 정형화됐다. 대한(大韓) 황실(皇室)의 위엄을 보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한 이화문장(李花紋章)은 대한 황실의 상징 문장(紋章)으로서 황실 복식과 황궁(皇宮) 경운궁(慶運宮)의 전각,가구,자기,시계,우표 등의 각종 황실용품, 대한제국 2대 순종 융희제와 순정황후((純貞皇后)가 사용했던 어차(御車) 문에 대한 황실의 상징 문장인 이화문(李花紋)을 금도금했다. 은제 탕그릇은 대한 황실 문장(紋章)인 자두꽃(오얏꽃)을 선각(線刻)으로 새겨 넣고, 예서체로 ‘만수무강(萬壽無疆)’을 4곳에 써넣었으며 몸체 2곳에도 자두꽃이 선각되어 있다. 꽃모양 은잔은 순은(純銀)으로 된 술잔으로 다섯 꽃잎이 벌어진 형태이며 표면에 자두꽃을 선(線)으로 새겨 넣었으며 자두꽃무늬 은잔은 속이 깊고 바닥이 둥근 은잔으로 표면에 자두꽃을 선각으로 그려 넣었다. 청자자두꽃무늬병은 대한(大韓) 황실(皇室)에서 사용하였던 국내산 자기로 그릇 표면에는 자두꽃(오얏꽃) 문양 이화문(李花紋)을 선각(線刻)으로 장식하고 백자자두꽃무늬접시는 백자 그릇 중앙에 청화안료(靑華顔料)로 자두꽃(오얏꽃)을 그렸으며 가장자리는 금선을 둘러 장식하였고 굽의 안쪽에 광무 9년(光武九年)의 명문이 있어 1905년에 제작된 접시임을 알 수 있다.
|
| 본 게시물에 대한 독자 의견 | |
|
칼럼/사설: 김선갑 전 광 ... 구정뉴스: 광진구, ‘재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열악한 광진 ... 구정뉴스: 광진구, 2025 ... 구정뉴스: 뚝섬로 36가 ... 정계소식: 이정헌 국회 ... 정계소식: 오세훈 서울 ... 구정뉴스: 광진구, 지난 ... 구정뉴스: 광진구, 8개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광진구, 자양 ... 구정뉴스: 화양동, 구의 ... 구정뉴스: 광진구, 버스 ... 구정뉴스: 광진구, 식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