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영(監營)
등록일: 2012-06-12 09:09:06 , 등록자: 김민수 감영(監營)
조선시대에 각 도의 종2품(從二品) 감사(監司: 觀察使)가 정무(政務)를 보던 관아(官衙)인 감영(監營)은 전국에 모두 8곳이 있었으며 충청도는 충주에 감영이 있다가 1602년 공주로 옮겼고, 경상도는 상주에 있다가 1601년 대구로 옮겼으며, 함경도는 함흥에 있다가 1600년 영흥으로 이전하였다. 경기도의 감영은 한성(漢城) 돈의문(敦義門) 밖에 있었으며, 경상도는 상주, 전라도는 전주, 황해도는 해주, 강원도는 원주, 평안도는 평양에 각각 감영이 있었다. 감영의 최고 통치자는 관찰사(觀察使)이고 감영의 일반적인 배치구조는 관찰사의 영역이 중심을 차지하고 부속 관원들의 실무처와 비관원 실무 행정관료들의 영역으로 구별된다. 관찰사가 서무를 집행하는 선화당(宣化堂)은 3문으로 구성되어 권위를 상징한다. 감영의 재정은 관둔전(官屯田) 20결과 늠전(廩田) 80결, 공수전(公須田) 15결로 충당하며 감영에 소속된 노비는 450명이다.
|
| 본 게시물에 대한 독자 의견 | |
|
칼럼/사설: 김선갑 전 광 ... 구정뉴스: 광진구, ‘재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열악한 광진 ... 구정뉴스: 광진구, 2025 ... 구정뉴스: 뚝섬로 36가 ... 정계소식: 이정헌 국회 ... 정계소식: 오세훈 서울 ... 구정뉴스: 광진구, 지난 ... 구정뉴스: 광진구, 8개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광진구, 자양 ... 구정뉴스: 화양동, 구의 ... 구정뉴스: 광진구, 버스 ... 구정뉴스: 광진구, 식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