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뉴스 | 의회소식 | 정계소식 | 사회/인물 | 문화/교육 | 특집/기획 | 칼럼/사설 | 시론/평론 | 포토패러디만평 | 자유게시판
[ 2025년 02월 06일 목요일 ]  


알리는 말씀
심층토론방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특별초대석
단체소식
우리동네소식
단체소개
관련사이트






수라상(水刺床)

등록일: 2012-07-06 20:50:37 , 등록자: 김민수

수라상(水刺床)




조선 국왕은 6시 이전의 이른 아침에 먹는 초조반(初朝飯), 아침 수라(水刺), 점심의 낮것상과 저녁 수라(水刺), 밤중에 내는 야다소반과(夜茶小盤果) 등 총 5차례의 식사가 있었으며 조선 국왕은 아침 수라(水刺)는 오전 9시경에 저녁 수라(水刺)는 오후 5시경에 먹었다. 수라상(水刺床)은 주칠(朱漆)을 한 호족반(虎足盤) 2개, 네모난 책상반의 총 3개로 구성되며 국왕이 수라(水刺)를 드실 때는 대원반(大圓盤) 앞에 앉고, 소원반(小圓盤)에는 기미상궁(氣味尙宮)이 앉아 음식에 독이 들어있는지를 확인하는 기미(氣味)를 보고 네모난 책상반에는 전골 상궁이 전골 시중을 들며, 수라 상궁이 음식 시중을 든다. 음식에 독이 들어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인 기미(氣味)는 경험이 많은 큰방 상궁이 하는데 기미상궁(氣味尙宮)이 곁상에 놓인 빈 공기나 접시에 여벌의 은수저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금씩 덜어 국왕의 면전에서 맛 본 후에 국왕이 수라(水刺)를 들게 되어 있었다.수저는 은수저가 쓰였는데 은은 독이 닿으면 검정색으로 변색이 되므로 미리 국왕의 위해를 막을 수 있었다.

수라상에 오르는 음식은 주칠합에 담아 옮겼으며 반찬을 담는 그릇은 철에 따라 달리 썼다. 추운 계절인 추석부터 다음 해 단오 전까지는 은 반상기를 쓰고, 더운 철인 단오부터 추석까지는 사기 반상기를 썼다. 수라상(水刺床)은 수라, 탕, 찌개, 찜, 전골, 침채, 장류와 반찬 12 종류로 이를 12첩 반상(飯床)이라 한다. 수라는 흰 밥인 백반과 팥 삶은 물로 지은 찹쌀밥인 홍반 2가지를 밥그릇에 담고, 탕은 미역국과 곰탕 2가지를 탕기에 담아 올렸고 찌개는 토장찌개와 젖국찌개 2가지를 준비하고 찜, 전골, 침채 3가지가 기본 음식이며 청장, 고추장, 초고추장, 겨자집 등이 종지에 담아 올린다. 쟁첩에는 12가지의 반찬이 담겨지는데 더운 구이(육류, 어류의 구이나 적), 찬 구이(김, 더덕, 채소의 구이나 적), 전유화(육류, 어류, 채소류의 전), 삶은 편육, 익힌 숙채, 생채, 육류, 어패류, 채소류의 조림, 장과(짱아찌, 갑장과), 젓갈, 포, 자반, 튀각 등 마른 찬, 회(육, 어패, 채소류의 생회와 숙회), 찬수란(수란 또는 다른 반찬), 차수(숭늉 또는 곡물차)등을 올렸다.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죽이나 미음으로 허기를 달래는 상을 초조반(初朝飯)이라고 불렀다. 조선 국왕은 매일 보약을 먹었고 보약을 먹지 않을 때는 죽, 미음 등을 먹었으며 어포, 육포, 암치, 북어보푸라기, 자반 등의 마른 반찬 2-3 가지와 소금, 꿀, 청장,국물김치,맑은 찌개가 함께 내어졌다. 수라상(水刺床) 외에 낮에는 간단히 낮것상이라 하여 가벼운 점심을 먹었다. 명절에는 면상인 장국상을 차렸는데, 온면, 냉면 또는 떡국이나 만두 중 한 가지를 차리고 편육, 회, 전유화, 신선로, 나박김치, 장김치, 동치미 등을 놓았다. 궁중에서 차리는 화려한 야식상인 야다소반과(夜茶小盤果)는 채만두, 전유어,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숭어, 해삼, 전복을 한꺼번에 끓여낸 별잡탕(別雜湯), 편육, 각색병, 각색당, 여러 과일이나 인삼, 도라지, 연근, 무, 생강 등 식물의 뿌리를 설탕,물엿, 꿀 등을 넣어 조려내어 만든 각색정과(各色正果), 만두과, 꿀, 면, 약식, 식혜, 우유죽 등을 놓았고 밤늦은 시간의 주안상(酒案床)에는 다과상(茶菓床)에 떡, 과자, 음청류(飮淸類), 안주류와 면 등의 음식이 차려졌다.

본 게시물에 대한 독자 의견

구정뉴스: 광진구, 식품 ...
구정뉴스: 광진구, 자양 ...
구정뉴스: 화양동, 구의 ...
구정뉴스: 광진구, 버스 ...
정계소식: 오세훈 서울 ...
구정뉴스: 광진구, 8개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광진구, 지난 ...
구정뉴스: 광진구, 2025 ...
칼럼/사설: 김선갑 전 광 ...
구정뉴스: 뚝섬로 36가 ...
정계소식: 이정헌 국회 ...
구정뉴스: 열악한 광진 ...




칼럼/사설: 김선갑 전 광 ...
구정뉴스: 광진구, ‘재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열악한 광진 ...
구정뉴스: 광진구, 2025 ...
구정뉴스: 뚝섬로 36가 ...
정계소식: 이정헌 국회 ...
정계소식: 오세훈 서울 ...
구정뉴스: 광진구, 지난 ...
구정뉴스: 광진구, 8개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광진구, 자양 ...
구정뉴스: 화양동, 구의 ...
구정뉴스: 광진구, 버스 ...
구정뉴스: 광진구, 식품 ...

광진의 소리 | 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 사이버백화점 | 기사제보 | 취재의뢰 | 광고신청 | 우리동네소식 | 업체등록
e광진의소리 | 인터넷신문사업등록 : 서울특별시 아01391 | 사업자등록번호 : 634-55-00292 등록일자 2018년10월08일
발행인 겸 편집인 : 유윤석 | 편집국장 : 유윤석 청소년지도담당:윤태한 광고 및 기사제보 : 010-4858-0954
주소 : 서울시 광진구 뚝섬로30길 21-7.104호 | 대표전화 : (02) 444-2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