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昌德宮) 창경궁(昌慶宮) 경희궁(慶熙宮)
등록일: 2012-09-20 20:54:04 , 등록자: 김민수 창덕궁(昌德宮) 창경궁(昌慶宮) 경희궁(慶熙宮)
조선국 도읍 한성(漢城)의 동쪽에 창건한 동궐(東闕) 창덕궁(昌德宮)은 정문 돈화문(敦化門),대신들이 궐내각사로 출입한 금호문(金虎門),공식 의례와 조회(朝會)를 행하는 정전(正殿) 인정전(仁政殿),국왕이 국정 사무를 보는 편전(便殿) 선정전(宣政殿),국왕의 생활,침식 공간인 대전(大殿) 희정당(熙政堂),왕후가 생활하는 중궁전(中宮殿) 대조전(大造殿),왕세자가 생활하는 동궁전(東宮殿) 중희당(重熙堂),세자 학문 강학하는 성정각(誠正閣),왕실 도서관 승화루(承華樓),세자의 사무 공간 시민당(時敏堂),효장세자((진종)가 훙서한 진수당(進修堂), 대리청정(代理聽政)한 효명세자(익종)가 아버지 순조에게 존호(尊號)를 올리는 진작례(進爵禮)를 거행한 연경당(演慶堂)이 있다.
내전 경훈각(景薰閣),보경당(寶慶堂),낙선재(樂善齋),석복헌(錫福軒),수강재(壽康齋),어진(御眞) 봉안하는 선원전(璿源殿),선원전 재실 양지당(養志堂), 대비전(大妃殿) 만수전(萬壽殿),부속 건물 영모당(永慕堂),어원(御園) 상림원(上林苑)은 과거시험장 영화당(暎花棠),서재 기오헌(寄傲軒), 태극정(太極亭),소요정(逍遙亭),취한정(翠寒亭),농산정(籠山亭), 취규정(聚奎亭),부용정(芙蓉亭),애련정(愛蓮亭),청심정(淸心亭),승재정(勝在亭),존덕정(尊德亭) ,관람정(觀纜亭),농수정(濃繡亭),왕후가 내외명부(內外命婦)를 거느리고 친잠례(親蠶禮)를 행하는 채상단(採桑檀)이 있다.
3정승과 정2품 이상 고위관직자가 모여 중요한 안건을 협의한 빈청(賓廳),사헌부나 사간원의 벼슬아치들이 국왕에게 아뢸 일을 의논하던 대청(臺廳), 이조(吏曹)나 병조(兵曹)의 전관(銓官)이 도목 정사(都目政事)를 보던 정청(政廳)과 어명 출납(出納),관보 발행하는 승정원(承政院),실록을 편찬하는 춘추관(春秋館),국정 자문,간쟁하는 홍문관(弘文館),문서 제술,사초(史草) 기록하는 예문관(藝文館),어제 어필을 보관하고 학술 연구하는 규장각(奎章閣),서적의 수집과 출판을 담당한 검서청(檢書廳),궁중(宮中)의 의약(醫藥)을 맡은 내의원(內醫院),궁중의 음식을 공급하는 사옹원(司甕院),내시(內侍)들이 근무하는 내반원(內班院)의 궐내각사가 있다.
창경궁(昌慶宮)은 의례 공간인 정전 명정전(明政殿),국왕 사무 공간 편전 문정전(文政殿),강학 공간 숭문당(崇文堂),중궁전 통명전(通明殿),대비전 자경전(慈慶殿),세자 강학 공간 신독재(愼獨齋),내전 환경전(歡慶殿),정조가 탄강한 경춘전(景春殿),통화전(通和殿),양화당(養和堂),연희당(延禧堂),건극당(建極堂),국왕이 직접 농사를 지어보면서 농정을 살피는 권농장(勸農場)인 내농포(內農圃) 관풍각(觀豊閣),어원(御園) 함춘원(含春苑), 정문 홍화문(弘化門),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훙서한 선인문(宣仁門),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사당인 경모궁을 전배하기 위해 만든 월근문(月覲門) ,임금이 성균관(成均館)의 문묘를 참배시 사용하는 집춘문(集春門)이 있다.
조선국 도읍 한성(漢城)의 서쪽에 창건한 서궐(西闕) 경희궁(慶熙宮)은 정문 흥화문(興化門), 왼쪽에 흥원문(興元門), 오른쪽에 개양문(開陽門), 서쪽에 숭의문(崇義門), 북쪽에 무덕문(武德門)이 있고 조회(朝會)를 하는 정전(正殿) 숭정전(崇政殿),국왕이 국정 사무를 보는 편전(便殿) 자정전(資政殿), 대전(大殿) 융복전(隆福殿), 중궁전(中宮殿) 회상전(會祥殿),내전 집경당(集慶堂),신료(臣僚)들을 접견하고 강연(講筵)을 연 흥정당(興政堂),경륜재(經綸齋),위선당(爲善堂),상휘당(祥暉堂),함춘헌(含春軒),안희합(安喜閤),지효합(至孝閤), 내전 별실 덕유당(德游堂),덕유당 부속 공간 사물헌(四勿軒),내전 하례(賀禮) 공간 광명전(光明殿)이 있다.
어진(御眞)을 봉안한 태령전(泰寧殿),국왕의 신위(神位)를 봉안한 계상당(啓祥堂),대비전(大妃殿) 장락전(長樂殿),대비전 누각 봉상루(鳳翔樓),용비루(龍飛樓),대비전 별당 어조당(魚藻堂)과 동궁전 내당(內堂) 즙희당(緝熙堂),양덕당(養德堂),동궁전 부속 건물 중서헌(重書軒),동궁전 별당 경선당(慶善堂),세자 사무 공간 경현당(景賢堂),세자 서재 문헌각(文獻閣),세자 강학하는 존현각(尊賢閣),국왕이 독서하는 석음각(惜陰閣),혼천의(渾天儀) 설치한 규정각(揆政閣),어원(御園)에 청한정(淸閒亭),춘화정(春和亭),황학정(黃鶴亭),용비천(龍飛泉),영렬천(靈洌泉)이 있다.
3정승과 정2품 이상 고위관직자가 모여 중요한 안건을 협의한 빈청(賓廳),사헌부나 사간원의 벼슬아치들이 국왕에게 아뢸 일을 의논하던 대청(臺廳), 어명 전달,관보 발행하는 승정원(承政院),국정 자문,간쟁(諫爭)하는 홍문관(弘文館),외교문서를 관장하던 승문원(承文院),문서 제술(製述),사초(史草) 기록하는 예문관(藝文館),국왕의 의복과 궁내의 재화(財貨)·금·보화 등을 관리하는 상의원 (尙衣院),내시(內侍)가 집무하는 내반원(內班阮),왕실에 필요한 약을 조제하고 치료하는 내의원(內醫院),수라와 자기 공급을 담당한 사옹원(司饔院), 5위를 지휘하는 도총관이 근무한 5위도총부(五衛摠總府) 등 궐내각사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