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뉴스 | 의회소식 | 정계소식 | 사회/인물 | 문화/교육 | 특집/기획 | 칼럼/사설 | 시론/평론 | 포토패러디만평 | 자유게시판
[ 2025년 02월 06일 목요일 ]  


알리는 말씀
심층토론방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특별초대석
단체소식
우리동네소식
단체소개
관련사이트






정월 대보름 상원(上元) 음력 2월 1일 중화절(中和節)

등록일: 2013-03-12 15:27:04 , 등록자: 김민수

정월 대보름 상원(上元) 음력 2월 1일 중화절(中和節)











http://blog.naver.com/msk7613















1415년 1월 18일 태종이 정월 대보름인 상원일(上元日)의 등불을 켜고 복을 비는 연등(燃燈)을 혁파(革罷)하였다. 1416년 1월 15일 상원(上元)의 등(燈)에 불을 켜서 여기저기 사방에 벌여 달아 놓는 장등(張燈)을 없앴다. 태종이 “상원일(上元日)의 장등(張燈)은 고제(古制)와 중국 조정의 법에 의하여 하고자 하나 조선국에서는 이 제도를 좇지 아니한 지 오래 되었으니, 이제부터는 상원의 장등(張燈)을 없애고, 이미 준비한 등(燈)은 4월 초8일에 쓰게 하라.” 말하였다.1770년 1월 14일 영조가 상원일(上元日)에 민간의 광통교(廣通橋)를 중심으로 하여, 열 두 다리를 밟으면 그 해의 재액(災厄)을 면한다 하여 달 아래에서 즐거이 놀던 답교(踏橋)하기 위해 의금부에 명하여 밤에 통행 금지를 해제하게 하였으니, 백성들과 나라가 안정되어 아무 걱정 없고 평안한 태평(太平)을 같이 즐기는 뜻을 보인 것이다.1771년 1월 15일 영절(令節)에 성문을 열어 야간의 통행금지를 해제하는 방야(放夜)하도록 명하였는데 정월 대보름날 밤에 답교(踏橋)하는 놀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중화절(中和節)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농사철의 시작을 기념하던 절일(節日)로 음력 2월 1일을 일컫는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2월조에는 이필(李泌)의 정월 상소에서 옮긴 “2월 초하루를 중화절로 삼고 모든 관리들에게 농서를 올리게 하여 농사가 힘써 해야 할 근본임을 나타내십시오.”라는 대목이 있다. 중화절은 농사가 중요한 생업이었던 만큼 농업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날이었다. 국왕이 백관들로 하여금 농서(農書)를 올리게 하고, 또 술과 음식을 베풀고 중화척(中和尺)을 나누어줌으로써 농업이 국가의 근본임을 나타내었다. 1796년(정조 20) 음력 2월 1일에 처음으로 정조 임금이 공경(公卿)과 근신(近臣)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중화척을 나누어줌으로써 중화절이 비롯되었다. 중화척은 반죽(班竹)이나 적목(赤木 : 이깔나무)으로 만든 자인데, 바느질자인 포백척(布帛尺)보다 조금 짧다. 정조는 이 중화척을 나누어주면서 “자를 중화절에 나누어주는 것은 신하들에 대한 국왕의 신임을 상징하는 것이니 신하들은 능력을 다하여 나를 잘 보좌해달라.”는 내용의 시를 지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2월조에 보면 “2월 초하루에 화간(禾竿)에서 벼이삭을 내려 송병(松餠)을 만들어 종들에게 나이 수대로 먹인다. 그래서 속칭 이 날을 노비일이라고 한다. 농사일이 이 때부터 시작되므로 이를 노비에게 먹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세시풍속초(歲時風俗抄)에도 “풍년을 기원하여 여러 가지 곡식 이삭을 볏짚단에 싸서 세우는 장대 낟가릿대인 화간(禾竿)을 거두며 거기 꽂았던 곡속(穀屬)으로 송병(松餠)을 만들어 먹는 것이 2월 1일의 풍습이오. 송병(松餠)은 노비(奴婢)들에게도 골고루 주어 저마다 그 연령대로 먹게 하니 이 날을 노비일(奴婢日)이라 하오.”라고 하였다.





2월이 되면 겨울철 시베리아 기단의 차가운 북서풍이 약해지고 양자강 기단의 남서풍이 불어오는 환절기로 이른바 꽃샘추위가 있고 기압골의 이동이 빈번해서 날씨의 변덕이 심한 때이다. 농한기(農閑期)가 계속되지만 땅이 해동(解冬)하는 시기로 식물의 소생도 함께 이루어져 농사에 대한 준비가 활기를 띠는 시점이 된다. 음력 2월 초하룻날인 영등날에 하늘에서 내려와 집집마다 다니면서 실정을 조사하고 2월 스무날에 하늘로 올라가는데 바람을 다스리는 영등할머니를 잘 대접하여 농사의 풍년과 가정의 안녕을 기원했다. 음력 2월 1일에 농사가 시작된다고 해서 노비일(奴婢日),머슴날이라 하여 일꾼들을 잘 먹였다. 영남ㆍ호남지방에는 풍년을 기원하여 여러 가지 곡식 이삭을 볏짚단에 싸서 세우는 장대 볏가릿대인 화간(禾竿) 풍속이 있다. 경기ㆍ충청지방에서는 송병(松餠)을 나이떡이라 해서 나이만큼 먹는 곳이 있다. 함경도에서는 집 안팎을 대청소하며, 가축 우리도 깨끗하게 청소한다. 그리고 “향랑각씨속거천리지외(香娘閣氏速去千里之外)”, “행진강남수천리(行盡江南數千里)” 같은 문구의 부적을 써서 집안에 붙이기도 했다. 이는 노래기로 대표되는 벌레들이 멀리 가라는 의미이다. 또 천장에는 ‘충(蟲)’자를 써서 붙이고 방의 네 기둥에는 종이에 ‘조(鳥)’자를 써서 붙이기도 했다. 이는 새가 벌레, 곧 노래기를 잡아먹으라는 뜻이다. 이 날 부녀자들은 마을에서 방이 큰 집에 모여 음식을 나누어 먹고 북, 장구 또는 큰 대야에 물을 가득 붓고 쪽박을 물 위에 엎어놓고 숟가락으로 때리며 물장구를 치면서 춤도 추고 즐겁게 놀았다.

본 게시물에 대한 독자 의견

구정뉴스: 광진구, 식품 ...
구정뉴스: 광진구, 자양 ...
구정뉴스: 화양동, 구의 ...
구정뉴스: 광진구, 버스 ...
정계소식: 오세훈 서울 ...
구정뉴스: 광진구, 8개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광진구, 지난 ...
구정뉴스: 광진구, 2025 ...
칼럼/사설: 김선갑 전 광 ...
구정뉴스: 뚝섬로 36가 ...
정계소식: 이정헌 국회 ...
구정뉴스: 열악한 광진 ...




칼럼/사설: 김선갑 전 광 ...
구정뉴스: 광진구, ‘재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열악한 광진 ...
구정뉴스: 광진구, 2025 ...
구정뉴스: 뚝섬로 36가 ...
정계소식: 이정헌 국회 ...
정계소식: 오세훈 서울 ...
구정뉴스: 광진구, 지난 ...
구정뉴스: 광진구, 8개 ...
의회소식: 광진구의회, ...
구정뉴스: 광진구, 자양 ...
구정뉴스: 화양동, 구의 ...
구정뉴스: 광진구, 버스 ...
구정뉴스: 광진구, 식품 ...

광진의 소리 | 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 사이버백화점 | 기사제보 | 취재의뢰 | 광고신청 | 우리동네소식 | 업체등록
e광진의소리 | 인터넷신문사업등록 : 서울특별시 아01391 | 사업자등록번호 : 634-55-00292 등록일자 2018년10월08일
발행인 겸 편집인 : 유윤석 | 편집국장 : 유윤석 청소년지도담당:윤태한 광고 및 기사제보 : 010-4858-0954
주소 : 서울시 광진구 뚝섬로30길 21-7.104호 | 대표전화 : (02) 444-2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