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진구 지난해 예산편성하고도 불용액 373여억원!
김태수 서울시의원,작년도서울시불용액 2조발생사실 발표 개선책 제시
등록일: 2017-06-21 , 작성자: 광진의소리 
▲김태수 시의원이 발표한 2016년도 서울시 및 각 자치구 불용액 현황:단위 만원/광진의소리
<광진의소리=유윤석 기자>
광진구가 지난해 예산을 편성하고도 쓰지않아 발생한 불용액이 373여 억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
,
김태수 서울시의원(민주당.중랑2.사진)은 서울시 및 각 자치구가 지난해 발생한 불용액이 사상 첫 2조를 넘어섰다며 자료를 공개한 바,우리 광진구는 위와 같다.
이 자료(표)에 의하면 광진구는 계획변경 등 집행사유 미발생503,889만원,예산절감315,789만원,예산집행잔액(낙찰차액등)2,217,954만원조금집행잔액387,433만원,예비비310,576만원 합계 3,735,641만원이다.
김태수 의원이 서울시에서 받은 ‘서울시 및 각 자치구 불용액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2조1140억이 발생해 전년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불용액 현황 2012년 1조6409억, 2013년 1조7246억, 2014년 1조7325억, 2015년 1조9044억, 2016년 2조1140억
불용액 대부분은 예산을 과다하게 편성해 발생했다. ▲사업(보조금 포함) 집행 잔액 1조3766억 ▲사업 변경 또는 취소 등 3691억 ▲예비비 2650억이다. 예산 절감으로 인한 불용액은 1031억(4.8%)에 그쳤다.
지자체 불용액 현황을 보면 서울시는 918억, 25개 자치구는 1조1956억으로 각각 조사됐다.
특히 이들 자치구 중 사업비를 가장 많이 남긴데는 강남구로 나타났다. 강남구는 824억을 불용처리했다. 이어 서초구 809억, 중구 743억, 마포구 729억 순이다.
반면 가장 적게 남긴 자치구는 금천구다. 금천구는 지난해 276억을 불용액으로 남겼다. 이어 성동구 296억, 중랑구 317억, 강북구 319억 순이다.
김태수 의원은 “예산을 미리 편성하기 때문에 불용액 발생은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다”고 하면서도 “과다한 불용액은 자치단체 집행부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불용액을 최소화하여 지방재정의 건전성과 효율성을 높여 주민들에게 신뢰받는 집행부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부서별 불용액 평가제를 도입해 상벌 기준을 삼는 등 적극적인 불용액 감소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 | 기사에 대한 한줄 의견을 남겨주십시요. 256 남았습니다. |
|
|
|



|